공지사항

MICUBE Solution Day 2025 「 AI와 클라우드로 진화하는 자율제조의 모든 것 」 현장 스케치

  • 관리자
  • 2025-10-24

2025년 10월 21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국화홀에서 MICUBE Solution Day 2025  「AI와 클라우드로 진화하는 자율제조의 모든 것」 이 많은 분들의 관심 속에 진행되었습니다. 갑작스레 추워진 날씨에도 현장을 뜨겁게 데워주신 참관객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현장 스케치로 그 날의 분위기를 전해 드립니다.


 

Keynote Part에서는

자율제조를 위한 전략, 그리고 자율제조 생태계 확장의 기반이 되는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Keynote #1. 엠아이큐브솔루션의 자율제조 동반 성장 전략

박문원 대표이사 '2026년도 스마트제조 정부지원 정책 방향성 : AI 팩토리, 비수도권, 개방과 협력'

 

《 엠아이큐브솔루션의 자율제조 동반 성장 전략 》에서는 2026년도 제조 AI 고도화 전략 관련 정부 지원 정책의 방향성을 소개하며 제조 AI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재정적인 부담으로 인해 고민 중이실 분들께 도움이 될 만한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조금 소개해 보자면 ​2026년도 제조 AI 관련 정부 지원 정책은 특히 비수도권을 대상으로 한 AI 팩토리 관련 투자, 특히 '개방과 협력'이라는 트렌드에 맞춰 진행될 전망인데요.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이러한 제조 AI 지원 정책 트렌드에 부합하는 성공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I 팩토리 선도사업, 제조 AI 기술 R&D 실증사업 등 비수도권, 그리고 개방과 협력이라는 조건에 부합하는 경험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데요. 엠아이큐브솔루션과 함께 2026년도 제조 정부지원사업을 준비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2026년도 스마트팩토리 정부지원소식 메일로 받기

 

《 엠아이큐브솔루션의 자율제조 동반 성장 전략 》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AI는 시대정신”…엠아이큐브, 제조 AX의 든든한 Copilot 되겠다 (이지경제 2025.10.13)

 

 


Keynote #2. 자율제조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의 자세

자율제조연구소 박양호 소장 '제조 환경에서 기업 운영 모델(LEM)을 활용해 불확실성을 기회로 만드는 방법'

 

디지털 트윈이란 현실 세계의 물리적 자산, 시스템, 공정 등을 디지털 공간에 가상으로 똑같이 복제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시뮬레이션하는 기술로 총 5단계로 구분되는데요. 그 동안 제조 현장에서 4~5단계의 디지털 트윈을 실현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AI 모델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기업 운영에 사용되는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 통합의 차원을 넘어 기업의 의사결정 패턴을 데이터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AI 기반의 의사결정에 대한 영향도를 측정해 이를 다음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기업 운영 모델(LEM, Large Enterprise Model)이 등장하면서 4단계 이상의 고도화된 제조 디지털 트윈이 가능해졌습니다.

 

 

《 자율제조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의 자세 》에서는 한 발 더 가까워진 제조 디지털 트윈 5단계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 현장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해 소개해 주셨는데요. 바로 국제 표준 기반 데이터, 그리고 개방형 플랫폼으로의 전환입니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일찍부터 이에 필요한 기술인 제조 디지털 트윈(MDT)을 연구하고 적용해 왔습니다. Chat gpt처럼 조만간 제조 현장에도 필수적인 툴이 될 제조 디지털 트윈, 엠아이큐브솔루션과 함께 시작해 보세요.

제조 디지털 트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고문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율제조 공장으로 가는 길: 현실과 이상 사이 (아주경제 2025.08.05)

 


Keynote #3. 자율제조 생태계 확장을 위한 클라우드 사업자의 역할

네이버클라우드 나창현 매니저 '제조 AI를 시작하려는 도입기업이 좋은 공급기업을 만날 수 있도록'

 

이번 MICUBE Solution Day 2025는 엠아이큐브솔루션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네이버클라우드가 함께 했는데요. 마지막 키노트 세션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를 활용해 중소 제조기업에서 자율제조를 쉽게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중소 제조기업에서 자율제조를 시작할 때 필요한 모든 IT 인프라를 플랫폼 상에서 클릭 몇 번만으로 손쉽게 즉각 도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네이버클라우드는 제조 AI를 시작하고자 하는 도입기업이 좋은 공급기업을 찾을 수 있도록 연결고리의 역할도 수행합니다. 네이버 쇼핑 서비스가 구매자와 좋은 상품을 연결하고, 웹툰 서비스를 통해 독자와 좋은 작품을 연결하는 것처럼 제조 시장 내의 도입기업과 역량 있는 공급기업을 연결하는 데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정기적으로 공단을 대상으로 한 중소 제조 AX 세미나, 수요-공급 매칭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고, 엠아이큐브솔루션도 여기에 함께 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커피 브레이크 이후 이어진 Case Study Part에서는

엠아이큐브솔루션이 고객사 현장에 구축한

자율제조 시스템과 AI 팩토리 사례를 소개하였습니다.

 


Case Study #1. 자율제조 시대를 위한 제조 시스템의 진화

엠아이큐브솔루션 Large Enterprise사업부 김재방 수석 '자율제조의 첫 걸음, 설비 관리+제조 AI'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설비-품질-공급망-물류 전 영역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최적화, 연결, 지속가능한 자율형 제조 실현으로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전 영역에 전환이 필요하다는 말에 어디서부터 첫 발을 떼야 할지 막막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 자율제조 시대를 위한 제조 시스템의 진화 》에서는 이러한 제조 현장을 위해 설비 관리부터 AI를 접목해 점차 확장해 나가는 방안을 소개하였습니다. 자율제조의 시작을 설비 관리부터 시작하는 이유가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설비 자동화가 상당히 이뤄진 편이라 반도체, 자동차, 금형, 식품 등 산업의 종류와 관계 없이 작게는 50%부터 많게는 82%까지 설비 의존도(설비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설비가 멈추면 공장이 멈춘다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설비에서 나오는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화에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자체 개발 설비 관리 솔루션 'SmartEES'와 이를 MLOps 플랫폼 'Samrt AI'를 결합하여 불량을 사전에 예측하고, 양품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을 공정 조건을 도출하거나, 설비가 멈추지 않도록 예지보전을 제공한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설비 관리+제조 AI 사례는 아래 영상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ase Study #2. 전자문서 활용 Smart HACCP 구축 사례

엠아이큐브솔루션 Solution MES Business사업부 이충헌 전무 '식품 업종을 위한 MES+전자문서 활용 사례'

 

위생 관리가 아주 중요한 식품 제조 현장에서는 수많은 일지를 수기 기록하며 공정, 품질, 설비 등을 관리하고, 오프라인으로 결재를 받아 2년 이상 관련 문서를 보관하는 곳이 많습니다. 이 과정에서 작성 및 정보 취합에 많은 공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작성 과정에서 휴먼 에러가 발생해 정보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품질 관리를 위한 추적성 또한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을 직면하게 되는데요. 

《 전자문서 활용 Smart HACCP 구축 사례 》세션에서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스마트 해썹 구축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식품 업종에 강한 엠아이큐브솔루션은 풀무원 관계사-협력사를 아우르는 통합 클러스터 개념의 MES+전자문서 시스템을 구축한 경험을 기반으로 오뚜기, 매일유업, 면사랑 등 다양한 식품 제조 현장에 스마트 해썹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아티클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스마트 해썹(Smart Haccp) 인증 위한 식품업종 일지 전산화 솔루션 구축사례

 


Case Study #3. 제조 특화 LLM Agent 적용 사례

자율제조사업부 이충헌 상무 '제조 데이터+도메인 지식 기반 목표 달성을 위해 최적의 판단을 하는 제조 AI'

 

제조 특화 LLM Agent가 고도화되면서 제조 현장의 데이터와 제조 도메인 지식을 가지고 상황을 이해하는 능력과 최적의 판단을 하는 능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마치 사람의 두뇌가 성장하고 경험이 쌓이면서 보다 성숙하고 적합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것과 같은데요. 이를 토대로 최적의 조치 방안을 인간에게 제안하고, 설비가 실행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위에서 말씀 드린 두뇌 역할을 하는 것이 제조 특화 LLM Agent 등을 활용해 구성된 제조 버티컬 AI입니다. 도메인 지식을 코어로 하며, 답변의 근거를 제시하고, 레거시 시스템(MES, SCADA, ERP 등)과의 연동을 통해 최적 상태로 오케스트레이션(조율)하는 역할입니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제조 버티컬 AI를 활용해 글로벌 가치사슬과 같은 외부의 정보, 그리고 공정 · 설비 · 물류와 같은 제조 현장 내부의 정보를 종합해 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내외부 변화에도 최적의 생산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조정안을 제시하는 APS(Advanced Planning&Scheduling) 등의 구축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제조 버티컬 AI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엠아이큐브솔루션 “진정한 자율 제조, AI·디지털 트윈으로 현실화” (데이터넷 2025.05.23)

 


 

매체에서 이야기하는 '자율제조'는

믿을 수 없을 만큼 먼 미래의 모습처럼 그려지지만

사실은 여러분의 가려운 곳을 긁는 것에서 '자율제조'는 시작됩니다.

MICUBE Soluiton Day 2025  「 AI와 클라우드로 진화하는 자율제조의 모든 것 」

 


 

이제는 제조 현장에서 반드시 구비해야 할 '자율제조'라는 키워드를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관점에서 전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에서 이번 MICUBE Solution Day가 시작되었는데요. 추운 날씨에도 많은 곳에서 찾아와 소중한 시간을 내어주신 모든 분들께 도움이 되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자율제조를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고민이시라면 언제든지 엠아이큐브솔루션으로 연락 주세요.